관리 메뉴

수희씨닷컴

조중동 종편에 지역신문 살아남을 수 있을까? 본문

지역언론 이야기/미디어의 미래

조중동 종편에 지역신문 살아남을 수 있을까?

수희씨 2011. 7. 7. 10:45

올 하반기에는 조선,중앙, 동아, 매경이 만드는 종합편성채널(이하 조중동매종편)과 연합뉴스의 보도전문 채널이 개국한다. 여러 개의 새로운 방송이 만들어지면서 기존 미디어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많은 분석들이 나와 있다. 대표적인 이야기는 방송업계의 경쟁이 치열해지다보면 광고 경쟁도 심해질 것이고, 방송 프로그램도 선정적으로 변할 것이라는 우려다. 여기에다가 방송의 공공성, 공익성에도 심각한 문제가 생길 것이라는 진단이다. 그렇다면 지역신문에는 이런 방송환경에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될까.


종편 출범하면 지역신문 광고 타격받는다는데....


충북일보가 지난 7월4일  <“ 종편 출범 땐 지역신문 광고 타격”>이라는 기사를 실었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이 주최한 뉴스콘텐츠 유료화 방안 모색 토론회에서 상지대 김경환 교수가 종합편성채널이 생기면 지역신문도 광고수입에서 타격을 입을 것이라고 주장했다고 전했다. 김 교수는 종편 등장으로 가장 많이 타격을 입는 매체는 중소신문과 지역방송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부분은 많은 사람들이 이야기하는 부분이다.


미디어랩 제도라는 게 있다. 미디어렙은 Media Representative의 준말로써, 광고주의 각종 방송광고를 광고주를 대신해서 방송국에게 판매하는 회사를 의미한다(다음 백과 사전). 이제까지 우리나라에서는 한국방송광고공사 (이하 코바코)라는 미디어랩을 설치해 공영미디어랩 형태로 운영해오다, 지난 2008년 11월27일 헌법재판소가 코바코의 판매대행 독점은 헌법 불합치라는 판결을 내려 민영미디어랩 도입에 대한 논의가 시작됐다. 여러 개의 미디어랩을 만들자는 것이다. 기존 코바코 공영미디어랩체제에서는 지역방송이나 군소종교방송 등에 대한 제도적 배려가 존재했다.


미디어랩 논의 못한 6월 국회


그런데 지난 6월 국회에서 미디어랩 논의를 전혀 하지 못했다. 한나라당에서 KBS 수신료 인상안을 날치기 처리하려는 시도를 했기 때문이다. 민주당도 이를 막느라 미디어랩 논의는 뒤로 밀렸다. 미디어랩 제도를 제대로 만들지 못하면 조중동매 종편이 방송광고에 직접 나설 수 있게 된다. 여론독과점 형태를 보여 온 신문들이 방송도 하게 되고, 광고까지 직접 영업하게 된다면 어떤 결과를 가져올지 짐작하는 건 어렵지 않다. 이들은 광고영업을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을 것이다. 이미 기업체나 지자체에 광고 영업을 위한 로비를 벌이고 있다는 이야기도 들려온다.


한정된 광고시장을 조중동매 종편이 늘어나 또 다시 파이를 줄여야 하고, 지역방송이나 군소방송등을 정책적으로 배려하지 않는다면 광고 경쟁에서 밀릴 것이 뻔하지 않은가. 그렇다면 지역의 광고를 놓고도 치열한 경쟁이 벌어질테고 매체 경쟁력이 약한 지역신문은 정말 살아남기 힘든 구조가 될 것이다.


그렇다면, 지역신문이 종편과 손을 잡으면 좀 나아질까? 앞의 충북일보 기사 내용을 보면 김경환 교수는 “일부 지역신문이 종편과 짝짓기를 통해 외주사로 전락하는 것은 잘못이라며 종편이 실패하면 지역민방이 부상할 것이라고 전망했다”고 한다. 발표문 전문을 보지 못했지만, 외주사로 전락하는 것은 잘못이라는 의견에는 공감한다.


종편 손잡은 지역신문은 들러리 될 듯?


충청타임즈 7월7일자 8면 <종편 손잡은 지역신문 ‘들러리’ 우려>에서는 기자협회보 기사를 인용해 종편에 참여한 지역신문사들이 깊은 고민에 빠졌다고 전했다. 콘텐츠 제휴 조건 등을 놓고 협상을 벌이는 과정에서 종편이 지역 뉴스에 관심을 두지 않는 분위기가 감지되고 있다고 한다. 이 기사에서는 어려운 경영여건을 돌파하기 위한 해법으로 종편에 참여했지만 애초 기대와는 다르다는 지역신문 관계자의 이야기를 전하기도 했다.


해법이라…, 전혀 해법이 되지 못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외려 이용만 당하지 않을까 싶다. 이런 확신이 드는 이유는 그동안 조중동이 보여왔던 지역에 대한 인식이다. 조중동은 지역에 대한 배려가 전혀 없다. 지역의 이해와 요구를 반영하지 않는다. 신행정수도, 세종시, 과학벨트, 수도권 규제완화 등 대표적 국가현안사업에 대한 이들의 보도태도를 보면 단박에 알 수 있지 않나. 종편에 허울 좋은 들러리로 서느니 지역언론의 자존심을 지키는 게 낫지 않을까. 그래도 예상하기조차 버거운 다가올 현실에서 살아남을 방법을 고민해야 하는 지역신문업계로서는 험한 미래다.


해법 있으려나?


무엇부터 해야 할까. 우선 미디어랩 제도를 국회에서 논의해서 만들어야 한다. 한나라당은 더 이상 꼼수부리지 말고 미디어랩 문제에 적극 나서야 한다. 그래서 적어도 보도채널들이 광고 영업을 직접적으로 하는 사태는 막아야 한다. 

지역신문은 이제 정말 생사기로에 서 있다. 종편에 참여해서 종편의 지역국으로 전락하거나, 출입처에서 주는 기사 받아쓰기, 자치단체 광고비와 행사보조비로만 연명할 수는 없지 않나. 지역주민들의 여론을 담아내는 건강한 그릇이 되어야 한다. 무엇보다 지역신문은 양질의 저널리즘을 생산해내고, 지역에서 제도적으로 지역신문을, 아니 독자들을 지원하는 방법을 구상해 봐야 한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