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CJB
- 인문학
- 지역신문
- 블로그
- 꼰지방송
- 세월호 참사
- 독자
- 윤진식 의원
- 마을신문
- 나는 꼼수다
- 글쓰기
- 옥천신문
- 마을미디어
- 충북민언련 언론학교
- 조중동매 종편
- 주민기자
- 미디어렙
- 저널리즘
- 한미FTA
- 6.4 지방선거
- 신자유주의
- 충북민언련
- 기자
- 공동체
- 이시종 충북지사
- 중부매일
- 충북일보
- 조중동
- 동양일보
- 충청리뷰
- Today
- Total
목록CJB (7)
수희씨닷컴
지난 2010년 지방선거 당시 여론조사 보도는 그야말로 난리도 아니었다. 신문들은 매일같이 방송사에서 한 여론조사 결과를 기본 정보도 제공하지 않고 받아쓰기도 했다. 한 신문은 당시 새누리당 정우택 후보가 여론조사에서 이틀째 선두를 유지했다는 보도를 내놓기도 했고, 또 다른 한 신문은 각종 여론조사 결과를 그러모아 정우택 후보가 25대 1로 앞선다는 식의 기사제목을 써가며 무리한 해석을 하기도 했다. 이런 식으로 잘못 해석한 보도가 경마식 보도로 둔갑해 신문 주요 지면을 차지하면서 여론몰이에 악용됐다. 그러나 선거 결과는 여론조사와는 판이하게 다르게 나왔고, 몰상식한 보도를 내놓은 신문들은 별다른 반성조차 하지 않았다. 당시 2010년 6.2 지방선거보도감시단에서는 최악의 보도로 여론조사를 꼽기도 했다...
이제 내일이면 6.4 지방선거 ‘선택’이 끝난다. 우리 충북지역 방송사들은 나름대로 열심히 선거보도를 해왔다. 충주MBC는 유권자의 선택을 돕는 보도를 많이 내놓았으며, CJB는 바로보고 바로 뽑자 등의 공약 점검 보도 등을 미리 선보이며 공약 보도를 빼놓지 않고 해왔다. 그러나 이 외에는 별다른 기획보도는 없었으며, 대체로 후보 동정 중심의 보도가 많았다. 후보 동정 중심 보도도 도지사와 시장 후보 중심이었으며, 기초의회나 광역 의회 관련 선거는 이색적인 후보들을 소개하는 수준에 머물렀다. 충북 교육의 수장을 뽑는 교육감 선거는 충주MBC 기획보도를 제외하면 대게가 보수 후보 단일화 논란을 전하는 데 그쳤다. 사전 투표를 실시한 지난 한주 5월26일부터 6월1일까지 MBC와 CJB의 선거보도를 살펴봤다..
지난 19일부터 KBS 기자협회의 제작거부로 KBS뉴스가 단축 방송 하고 있다. 지역뉴스도 한 주간 방송하지 않았다. KBS기자협회는 길환영 사장이 청와대의 지시로 보도 통제에 나섰다는 의혹이 제기된 것과 관련해 사장의 퇴진을 요구하며 제작거부에 나섰다. 6.4 지방선거충북보도감시단도 KBS의 제작거부 사태를 적극 지지하며 KBS가 하루 빨리 국민의 방송 공영방송으로 거듭나길 촉구한다. 본격적인 선거운동을 시작한 지난 5월19일부터 25일까지 KBS뉴스를 빼고 청주‧ 충주MBC 뉴스와 CJB의 선거보도를 살펴봤다. 지난 한주간 가장 돋보인 선거보도는 충주MBC의 기획보도 시리즈 보도였다. 충북도교육감 선거의 중요성과 달라진 교육감 선거제도, 교육감 후보들이 내놓은 공약 분석 등 총 4차례 기획보도가 지난..
지난 6월 초 청주시 공무원이 KT&G 연초제조창 매입과정에서 6억6천만원이라는 거액의 뇌물을 받았다는 사실이 경찰 수사 결과 드러나 많은 시민들이 충격을 받았습니다. 게다가 애초 연초제조창 부지가 250억원이었는데 청주시가 350억원에 사들여 혈세 100억원을 낭비했다는 경찰 수사 결과 발표도 시민들을 놀라게 했습니다. 청주시 공무원 뇌물 수수 사건에 대해서는 많은 보도가 있었습니다. 사안이 중대한 만큼 시사프로그램에서도 관련 내용을 다루었습니다. 이번 달 TV를 말하다에서는 공직자 비위 문제를 다룬 CJB청주 방송의 시사프로그램을 살펴봤습니다. 청주시청 공무원 뇌물 수수 사건에 대해 언론 보도를 보면, 청주시 공무원 이모씨가 2010년 청주시 기업지원과장으로 재직할 때 청주시 상당구 내덕동 연초제조창..
올 여름 정말 많은 비가 무섭게 내렸다. 그리고 피해도 컸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현상에 대해 더 이상 기상이변 탓만 할 수 없다고 말한다. 지난 7월27일 서울 강남 지역의 비 피해와 우면산 산사태! 도심 한복판이 순식간에 비에 잠기는 모습과 아파트로 산사태로 인한 흙이 쏟아져 들어오는 모습은 가히 충격적이었다. 지난 3월 일본을 덮친 쓰나미도 전 세계에 충격을 주었다. 충북지역도 적지 않은 피해가 발생했다. 북부권을 중심으로 비피해가 많았고, 올해는 유난히 산사태로 인한 피해도 많았다. 더이상 충북도 안전 지대는 아니다. 실제 2003년 태풍 매미로 인한 피해도 상당히 컸다. 피해현장만 중계해주는 재난 보도 자연재해, 재난 상황이 발생하면 TV 뉴스가 온통 재해 현장을 담아내는 소식들이다. 기자들이 ..
아름다운 계절, 5월! 5월은 가정의 달입니다. 그 어느 때보다도 가족의 소중함, 이웃의 소중함을 되돌아보게 하는 시기입니다. 어린이날, 어버이날, 입양의 날, 스승의 날, 성년의 날, 부부의 날 등 많은 기념일들로 가득한 달이기도 합니다. 일부에서는 특별히 날을 정하는 것에 대해 반대 의견을 밝히기도 합니다. 그러나 이런 날들을 계기로 잊고 있었던 우리 삶의 소중한 부분들을 다시 떠올리는 것도 의미 있는 일입니다. CJB는 이번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특별 프로그램을 따로 제작하지는 않았습니다. 각 프로그램 속에서 어떻게 가정의 달 의미를 되새겼는지를 살펴봤습니다. 5월이 되면 한 방송사의 휴먼다큐 프로그램이 늘 화제가 되곤 합니다. 이라는 프로그램에서는 다양한 사랑의 모습을 소개해 감동을 전해줍니다...
생방송 투데이는 매주 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저녁 6시30분부터 약 50여분간 방송되는 생방송 프로그램입니다. 이 프로그램은 크고 작은 지역 소식과 사람 사는 이야기를 따뜻한 시선으로 담아내 살아있는 충북의 모습을 지역민들에게 전달하겠다고 기획의도를 밝혔습니다. 지역밀착형 프로그램, 지역민의 알권리 충족과 직접 만들어가는 시청자 참여형 프로그램을 만들겠다는 것입니다. 이 프로그램의 전신은 이었습니다. 지난 1997년 10월 청주방송이 개국한 이래 10년 동안 방송했던 프로그램을 개편을 통해 로 방송 한 것입니다. 지역민영방송으로서 이처럼 오랜 시간동안 생방송 데일리 프로그램을 진행한다는 것은 여러면에서 의미가 크다고 볼 수 있습니다. 어려운 제작 여건과 방송 소재 부족 등 한계점도 있을 텐데, 꾸준히 좋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