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신자유주의
- 윤진식 의원
- 미디어렙
- 꼰지방송
- 6.4 지방선거
- 저널리즘
- 블로그
- 충청리뷰
- 세월호 참사
- 충북일보
- 기자
- 충북민언련
- 마을신문
- 이시종 충북지사
- 동양일보
- 옥천신문
- 공동체
- 충북민언련 언론학교
- 글쓰기
- 독자
- 중부매일
- 조중동매 종편
- 마을미디어
- 인문학
- 조중동
- 주민기자
- CJB
- 나는 꼼수다
- 한미FTA
- 지역신문
Archives
- Today
- Total
수희씨닷컴
기대와 실망이 오간 간송 미술관 본문
간송 전형필.
고고미술사학과를 졸업한 나에게 미술사 수업 시간 마다 이름을 듣게 되는 그런 사람이었다.
그때는 사실 간송의 삶이나 사상 따위에는 별 관심을 두지 않았다.
그냥 미술품을 많이 모은 사람 정도로 알았다할까.
얼마전 간송 전형필 전기 <간송 전형필>을 재밌게 읽었다.
아주 단숨에 생생하게 전형필의 삶을 볼 수 있었다.
르뽀 작가가 쓴 전기라서일까, 아니면 워낙 드라마틱한 삶을 살았기 때문일가.
간송의 전기를 읽으며, 무언가를 사랑한다는 것, 그걸 지킬 수 있다는 힘이 있다는 것, 개인의 이익이 아니라 나라를 생각한다는 것이 무엇인가를 다시금 생각했다.
그리고 간송 미술관에 꼭 가봐야 겠다는 생각을 했다. 간송미술관은 일년에 딱 두차례 전시를 한다.
미술사를 배웠다면서도 난 그동안 한번도 가보질 못했다.
지난 일요일 계획도 없이 길을 나섰다. 미술관 앞으로 길게 늘어선 줄, 한시간을 기다려 입장할 수 있었다.
이번 전시는 <사군자대전> 이었다. 사람이 너무 많아서, 차분히 감상할 여유가 없었다.
오래동안 기다렸던 기대감은 온데간데 사라지고 답답하기만 했다.
이번 전시회에서는 심사정, 김정희, 이하응 등이 그린 대나무 그림을 볼 수 있었다.
옛선비들은 글일 읽고, 쓰고, 그림까지 즐겼나보다.
선비의 기개를 표현한 사군자를 보니 어떤 것은 절개가, 어떤 것은 정취가 묻어났다.
간송 미술관은 참 소박했다. 오래된 건물만큼 실내 전시대도 세월을 그대로 간직한 듯 했다.
미술관 주변으로 심겨진 화분과 나무들이 소박한 미술관과 어우러졌다.
일년에 딱 두번 뿐이라서 더 특별하게 다가오는 간송미술관 전시.
보다 자주 볼 수 있으면 좋으련만......
힘들게 모은 간송 전형필의 컬렉션을 아무 때나 보고자 하는 것도 욕심이라면 욕심일 수 있겠다.
그래도 '전시'인데, 제대로 된 환경을 갖추고, 제대로 감상할 수 있는 여유를 좀 주면 좋겠다.
기대했던 만큼 큰 감동을 느끼지 못한 건 나만의 문제는 아닐 것이다.
간송의 문화재 사랑 정신에도 어울리지 않다.
고고미술사학과를 졸업한 나에게 미술사 수업 시간 마다 이름을 듣게 되는 그런 사람이었다.
그때는 사실 간송의 삶이나 사상 따위에는 별 관심을 두지 않았다.
그냥 미술품을 많이 모은 사람 정도로 알았다할까.
얼마전 간송 전형필 전기 <간송 전형필>을 재밌게 읽었다.
아주 단숨에 생생하게 전형필의 삶을 볼 수 있었다.
르뽀 작가가 쓴 전기라서일까, 아니면 워낙 드라마틱한 삶을 살았기 때문일가.
간송의 전기를 읽으며, 무언가를 사랑한다는 것, 그걸 지킬 수 있다는 힘이 있다는 것, 개인의 이익이 아니라 나라를 생각한다는 것이 무엇인가를 다시금 생각했다.
그리고 간송 미술관에 꼭 가봐야 겠다는 생각을 했다. 간송미술관은 일년에 딱 두차례 전시를 한다.
미술사를 배웠다면서도 난 그동안 한번도 가보질 못했다.
지난 일요일 계획도 없이 길을 나섰다. 미술관 앞으로 길게 늘어선 줄, 한시간을 기다려 입장할 수 있었다.
이번 전시는 <사군자대전> 이었다. 사람이 너무 많아서, 차분히 감상할 여유가 없었다.
오래동안 기다렸던 기대감은 온데간데 사라지고 답답하기만 했다.
이번 전시회에서는 심사정, 김정희, 이하응 등이 그린 대나무 그림을 볼 수 있었다.
옛선비들은 글일 읽고, 쓰고, 그림까지 즐겼나보다.
선비의 기개를 표현한 사군자를 보니 어떤 것은 절개가, 어떤 것은 정취가 묻어났다.
간송 미술관은 참 소박했다. 오래된 건물만큼 실내 전시대도 세월을 그대로 간직한 듯 했다.
미술관 주변으로 심겨진 화분과 나무들이 소박한 미술관과 어우러졌다.
일년에 딱 두번 뿐이라서 더 특별하게 다가오는 간송미술관 전시.
보다 자주 볼 수 있으면 좋으련만......
힘들게 모은 간송 전형필의 컬렉션을 아무 때나 보고자 하는 것도 욕심이라면 욕심일 수 있겠다.
그래도 '전시'인데, 제대로 된 환경을 갖추고, 제대로 감상할 수 있는 여유를 좀 주면 좋겠다.
기대했던 만큼 큰 감동을 느끼지 못한 건 나만의 문제는 아닐 것이다.
간송의 문화재 사랑 정신에도 어울리지 않다.
'수희씨 이야기 > 삶의 향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용필,바람의 노래 청주 수 놓다! (0) | 2011.06.11 |
---|---|
나무자전거와 반딧불이 (0) | 2011.06.06 |
봉사하는 아름다운 적십자사 사람들 (0) | 2011.05.20 |
연암에게 배우는 글쓰기의 힘 (0) | 2011.05.13 |
아름다운 길을 달려 남해로 간 여행 (0) | 2011.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