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마을신문
- 기자
- 신자유주의
- 블로그
- 나는 꼼수다
- 6.4 지방선거
- 충북일보
- 중부매일
- 충북민언련
- 조중동매 종편
- 공동체
- 충북민언련 언론학교
- 꼰지방송
- 지역신문
- 저널리즘
- 동양일보
- 글쓰기
- 옥천신문
- 미디어렙
- 마을미디어
- 독자
- 이시종 충북지사
- 충청리뷰
- 윤진식 의원
- 주민기자
- 조중동
- CJB
- 세월호 참사
- 한미FTA
- 인문학
- Today
- Total
목록간송 전형필 (2)
수희씨닷컴
나는 고고미술사학과를 졸업했다. 고고미술사학과는 고고학과 미술사를 배우는 곳이다. 아직도 많은 사람들은 과 이름을 들으면 되묻는다. 그게 뭐하는 학문이예요? 라고. 나는 그리 공부를 열심히 하는 학생은 아니었다. 학과 공부가 재미없진 않았지만 그렇다고 재밌지도 않았다. 어려웠다. 미술사는 주로 한국미술사와 동양미술사, 중국미술사를 배우고, 한국미술사에서도 회화사와 도자사, 조각사 등 세분화 된 갈래를 배운다. 수업시간에 봐야 하는 그림 슬라이드가 정말 많았다. 그 당시 수업에서는 작품에 대한 의미나 해석보다는 시기별로 어떤 특징을 보였는지, 어떤 사조의 작품인지 등 지나칠 정도로 형식미에 치중했기에 우리 미술의 아름다움이나 고유함에 대한 철학적 기반에 대해 제대로 들여다보질 못했다. 물론 수업에 흥미를 ..
간송 전형필. 고고미술사학과를 졸업한 나에게 미술사 수업 시간 마다 이름을 듣게 되는 그런 사람이었다. 그때는 사실 간송의 삶이나 사상 따위에는 별 관심을 두지 않았다. 그냥 미술품을 많이 모은 사람 정도로 알았다할까. 얼마전 간송 전형필 전기 을 재밌게 읽었다. 아주 단숨에 생생하게 전형필의 삶을 볼 수 있었다. 르뽀 작가가 쓴 전기라서일까, 아니면 워낙 드라마틱한 삶을 살았기 때문일가. 간송의 전기를 읽으며, 무언가를 사랑한다는 것, 그걸 지킬 수 있다는 힘이 있다는 것, 개인의 이익이 아니라 나라를 생각한다는 것이 무엇인가를 다시금 생각했다. 그리고 간송 미술관에 꼭 가봐야 겠다는 생각을 했다. 간송미술관은 일년에 딱 두차례 전시를 한다. 미술사를 배웠다면서도 난 그동안 한번도 가보질 못했다. 지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