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옥천신문
- 기자
- 충북민언련 언론학교
- 윤진식 의원
- 충북일보
- 지역신문
- 중부매일
- 동양일보
- 이시종 충북지사
- 독자
- 6.4 지방선거
- 마을미디어
- CJB
- 블로그
- 미디어렙
- 마을신문
- 인문학
- 충청리뷰
- 신자유주의
- 조중동
- 나는 꼼수다
- 조중동매 종편
- 공동체
- 꼰지방송
- 한미FTA
- 충북민언련
- 주민기자
- 세월호 참사
- 저널리즘
- 글쓰기
- Today
- Total
목록4.3 평화기념관 (2)
수희씨닷컴
누구를 위한 용서, 평화인가 우리와 함께 4.3 기행에 나선 송승호 선생님은 4.3 평화 기념관부터 둘러보자고 하신다. 4.3 평화 기념관은 제주 4.3 항쟁의 시작부터 지금까지를 전시하고 있다. 특히 당시 사건을 기리는 다양한 아트워크 작품들이 설치되어 있어 이해에 도움을 준다. 한국 현대사의 아픔, 끝나지 않은 역사 4.3 사건은 1947년 3월1일 경찰 발포사건을 기점으로 해 경찰과 서북청년회 탄압에 대한 저항과 단선‧단정 반대를 기치로 1948년 4월3일 남로당 제주도당 무장대가 무장봉기한 이래 1954년 9월21일 한라산 금족지역이 전면 개방될 때까지 제주도에서 발생한 무장대와 토벌대간 무력충돌과 토벌대가 진압하면서 수많은 주민들을 희생시킨 사건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고 한다. ▲ 4.3 사건의 ..
"언젠가 이비에 제주 4.3의 이름을 새기고 일으켜 세우리라" 4.3 백비, 이름짓지 못한 역사 4.3 평화기념관 전시장에 들어서면 역사의 동굴을 지나 첫번째로 만나게 되는 전시물이 바로 이 백비다. 순간 코끝이 찡했다. 굴곡진 현대사 속에서 수없이 학살당한 민간인들은 많다. 제주 4.3 사건으로 죽게 된 양민들의 죽음만큼 또 허무하고도 비참한 역사는 없을 것이다. 아무 이유도 없이, 잘못도 없이 학살을 당했다. 제주4·3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을 위한 특별법"이 만들어져 정부 차원의 진상조사가 착수되었고, 지난 2003년 10월31일 대통령이 대한민국을 대표하여 '국가권력에 의해 대규모 희생'이 이뤄졌음을 인정하고 제주도민에게 공식 사과를 하였다. 4.3평화 기념관의 전시는 영상과 타이포그라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