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주민기자
- 충북민언련 언론학교
- 마을신문
- 동양일보
- 꼰지방송
- 지역신문
- 세월호 참사
- 글쓰기
- 나는 꼼수다
- 이시종 충북지사
- 한미FTA
- 블로그
- 기자
- 독자
- 중부매일
- 옥천신문
- 충북민언련
- 인문학
- 조중동매 종편
- 조중동
- 6.4 지방선거
- 신자유주의
- 충북일보
- 충청리뷰
- 윤진식 의원
- 공동체
- 마을미디어
- CJB
- 저널리즘
- 미디어렙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지역주간신문 (2)
수희씨닷컴
저널리즘과 생존을 고민하다
지역신문 노동자들이 말하는 지역신문의 미래를 주제로 토론회가 열렸다. 현직기자들이 고백하는 현실은 참 만만치 않았다. 편집권에 대한 고민, 최저임금 수준의 박봉, 그래도 지역을 생각하며 치열하게 고민하는 그들의 모습에서 무엇이 대안일까, 생각한다. iPhone 에서 작성된 글입니다.
지역언론 이야기/미디어의 미래
2010. 10. 17. 07:25
반갑다! 기자 노동자여! 신문기자들이 자신을 스스로 노동자라 부르는 것이 꽤나 드물기에 지역신문 노동자라는 말이 반가웠다. 그 이유는 우리나라 언론의 반 노동자적 보도태도 때문이다. 노동자들이 왜 파업에 나서는지조차 제대로 헤아려주지 않는 현실은 누구나 인정할 것이다. 언론인 스스로 노동자라고 부르는 것은 저들의 이익에 충실할 때, 필요로 할 때에만 아닌가 하는 생각도 한다. (그나마도 힘 있는 언론사에만 노조가 있다. 방송사나 전국일간지들에 비해 지역일간지는 노조가 없는 경우도 많다. 노조만 나와도 알레르기 반응을 보이지 않았던가. 더 작은 규모의 지역주간 신문은 어떤가.) 기자 노동자인 여러분은 노동 3권을 완벽하게 보장받고 있는지 묻고 싶다. 지역주간신문 기자들 가운데에는 노조조차 꾸리지 못하는 곳..
지역언론 이야기/미디어의 미래
2010. 10. 14. 11:44